조건문 - 특정 조건에 따라 실행여부를 결정하는 구문 if 문 조건식에 따라 특정 문장 실행여부를 결정하는 기본적인 조건문 ( ) 안의 조건식 판별 결과 true > 블록{ } 안의 실행문을 실행, false > 실행하지 않음 문장1; if(조건식){ 문장2; } 문장3; // true : 문장1 -> 문장2 -> 문장3 // false : 문장1 -> 문장3 int a = 15; if(a > 10) { System.out.println(a + "는 10보다 크다"); } System.out.println("a : " + a); // 15는 10보다 크다 // a : 15 if - else 문 ( ) 안의 결과가 false 일 때 else의 { } 안의 실행문이 실행 문장1; if(){ 문장2; } el..
단항 연산자 (증감 연산자) (++, --) + 양수 표현, 실제로 사용할 필요 없다 - 음수 표현 ++ 증가 연산자, 1씩 증가 -- 감소 연산자, 1씩 감소 int i = 3; i++; System.out.println(i);// 4 ++i; System.out.println(i);// 5 System.out.println(++i);// 6 증가하고 출력 System.out.println(i++);// 6 출력부터 하고 증가(7이지만 6 나온 이유) System.out.println(i);// 7 (값은 누적) 1. 선행연산자 (전위연산자) - 피연산자의 앞쪽(좌측)에 붙여서 값을 1증가 또는 감소 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증감시킨 후 다른 연산에 참여 ex) ++i, --i 2. 후행연산자 (후위연산자..
형변환 Type Casting - 데이터 타입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해 형변환 발생 byte a = 10; int b = a; System.out.println(b);// 10 - 표현 범위가 좁은 데이터 타입에서 넓은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 byte => short => int => long => float => double char 실수형이 정수형보다 넓은 데이터 1. 자동(묵시적, 암시적)형변환 - 작은 데이터 타입 => 큰 데이터 타입 형변환 할 시, 자연스럽게 변환 가능하므로 자동형변환 발생! 음수 저장 가능한 byte, int 등의 타입은 char 타입으로 자동변환 불가! int a = 3; float b = 1.0F; double c = a + b; // a와 b 더하기 위해서 형변..
데이터 타입 데이터타입 설명 숫자 데이터 타입 SMALLINT 정수형 데이터 타입 (2byte) INT 정수형 데이터 타입 (4byte) BIGINT 정수형 데이터 타입 (8byte) 무제한 수 표현 가능 FLOAT(p) 부동 소수형 데이터 타입(4byte) 소수점 아래 7자리까지 문자 데이터 타입 CHAR(n) 고정 길이 문자형 (1~255 byte) VARCHAR(n) 가변 길이 문자형 (1~65,535 byte) LONGTEXT 대용량 문자열 데이터 타입 LONGBLOB 대용량 바이너리(2진법) 데이터 타입, 동영상 같은 거 날짜/시간 데이터 타입 DATE 날짜 데이터 타입 YYYY-MM-DD DATETIME 날짜/시간 데이터 타입 YYYY-MM-DD HH:MM:SS char(10) 0), make..
웹 web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페이지(프론트) 웹브라우저에 명령을 내리는 html 웹 개발할 때 필요한 건? html - 구조 css - 디자인(보기 좋게) javascript - 동적인 이벤트/기능 추가 웹페이지 만드는 도구 - html 언어는 text 기반이기 때문에 text 쓸 수 있으면 뭐든지 가능. (메모장, 이클립스 등) HTML - Hyper Text Markup Language : Hyper Text(연결 기능 있는 문서)를 만들어주는 언어 - 웹 페이지 구조를 설명, 태그로 구성 - 태그는 브라우저에 컨텐츠 표시하는 방법을 알려줌 - 구조상 상대적으로 바깥에 있는 걸 상위(부모)구조라 함. ~하위(자식)구조 명령 필수 명령 (시작과 종료의 한 쌍으로 이루어짐) 웹페이지 만들자~ 선언, 모..
DBMS -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또는 프로그램(Oracle, MySQL, SQL Server, MariaDB) 데이터베이스 - 조직화된 정보들의 모음, 데이터 집합. 데이터베이스는 고유한 이름을 가져야 함 객체 Object - 사람, 사물, 장소, 개념, 사건 같은 유무형의 정보를 가진 독립적인 실체 테이블, 뷰, 인덱스 등이 있고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객체는 테이블 테이블 Table -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객체 유형, 열과 행으로 이루어짐 데이터 data - 테이블과 같은 객체에 저장된 실제 정보를 의미 열 column - 컬럼/속성 Attribute. 테이블에서의 세로 부분, 하나의 테이블은 여러 열로 구성되어 있음 열 이름 colu..
데이터베이스 조직화된 정보들의 모음, DBMS로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 저장공간 자체를 의미하기도 함 (대학DB, 쇼핑몰DB)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용이 암호화 등 보안 기능 제공 여러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 사용 가능 데이터 검색, 삽입, 수정, 삭제 편리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: DB 관리 시스템 DB 생성부터 유저, 저장공간, 백업/복구 등 관리 DB로부터 데이터 검색, 삽입, 수정, 삭제 작업 도움 DBMS 유형: 관계형, 계층형, 망형, 객체지향형 등(관계형 RDBMS) 여러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 접속 및 데이터 공유 Oracle, MySQL, MariaDB, SQL Server(윈도우), DB2, SQLite(모바일)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