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7 Layer
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모델
다른 시스템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(국제표준화기구)에서 제안한 통신규약 (protocol)
계층이름 | 설명 | 프로토콜 | 전송단위 | 장비 | |
7 응용 Application |
상 위 계 층 Host Layer |
사용자 네트워크 간 응용서비스 연결, 데이터 생성 |
HTTP FTP |
데이터 Data |
호스트(PC등) |
6 표현 Presentation |
데이터 형식 설정 부호교환 암/복호화 |
JPEG MPEG |
|||
5 세션 Session |
송수신 간의 논리적인 연결 연결 접속, 동기제어 |
RPC NetBIOS |
|||
4 전송 Transport |
송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 신뢰성 있는 통신 보장 데이터 분할, 재조립, 흐름제어, 오류제어, 혼잡제어 |
TCP UDP |
세그먼트 Segment |
L4 스위치 | |
3 네트워크 Network |
하 위 계 층 Media Layer |
단말기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화된 경로 제공 |
IP ICMP |
패킷 Packet |
라우터 |
2 데이터링크 Data Link |
인접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, 전송 오류 제어 동기화, 오류제어, 흐름 제어, 회선 제어 |
HDLC PPP |
프레임 Frame |
브리지 스위치 |
|
1 물리 Physical |
0과 1의 비트 정보를 회선에 보내기 위한 전기적 신호 변환 | RS-232C | 비트 Bit |
허브 리피터 |
네트워크 장비
1계층 장비
허브 : 여러 대의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의 송신하기 위한 장비
리피터 : 디지털 신호 증폭 역할, 신호가 약해지지 않게 함
2계층 장비
브리지 :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(LAN)을 연결해주는 통신망 연결장치(느림)
L2 스위치 : 프레임을 목적지 MAC 주소 기반으로 빠르게 전송시키는 통신장치, 브리지와 허브 단점 개선
NIC : Network Interface Card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해 가장 빠르게 데이터 주고받을 수 있는 컴퓨터에 설치 장치
스위칭 허브 : 스위치 기능의 허브
3계층 장비
라우터 : LAN/LAN, LAN/WAN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네트워킹 장비. 경로 설정, 목적지까지 데이터가 안전하게 전달되게
게이트웨이 : 프로토콜을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장치, 데이터 보내고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
L3 스위치,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
망(백본) 스위칭 허브 : 광역(대단위 지역) 네트워크를 커버하는 스위칭 허브
4계층 장비
L4 스위치 : TCP/UDP 스위칭 수행, 로드밸런싱 가능하나 정교하지 못함
프로토콜
서로 다른 시스템/기기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규약
- 데이터 처리 기능, 제어 기능, 관리적 기능
프로토콜의 3요소
구분 Synatx | 데이터 형식, 코딩 신호 레벨 등 규정 |
의미 Semantic | 제어 정보. 조정과 에러 처리를 위한 규정 |
타이밍 Timing | 속도 조절과 순서 관리 규정 |
프로토콜 특징
단편화, 재조립, 캡슐화, 연결 제어, 오류 제어, 동기화, 다중화, 주소 지정
데이터링크 계층 (2)
데이터링크 계층은 링크의 설정과 유지/종료를 담당
노드 간의 회선제어, 흐름제어, 오류제어 기능을 수행
데이터링크 계층 프로토콜
- HDLC (High-level Data Link Control) : 점대점 방식이나 다중방식의 통신에 사용. ISO에서 표준화한 동기식 비트 중심의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
- PPP (Point-to-Point Protocol) : 네트워크 분야에서 두 통신 노드 간의 직접적 연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
- 프레임릴레이 : 프로토콜 처리 간략화, 데이터 프레임들의 중계기능과 다중화 기능만 수행 -> 고속 데이터 전송
- ATM (Asynchronous Transport Mode) : 53바이트 셀단위(정보전달의 기본단위)로 전달하는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방식의 패킷형 전송 기술
네트워크 계층 (3)
- IP (Internet Protocol) : 송수신 간의 패킷단위로 데이터 교환하는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통신프로토콜
-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: IP 네트워크상에서 IP주소를 MAC 주소(물리주소)로 변환하는 프로토콜
- RARP (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) : 물리 네트워크 주소(MAC)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려주는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
-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 : IP 패킷 처리시 발생한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. 메시지 형식은 8바이트의 헤더와 가변 길이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리. 수신지 도달 불가 메시지. ping 유틸리티의 구현을 통해 오류 발생 알리는 기능 수행
- IGMP (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) : 호스트 컴과 인접 라우터가 멀티캐스트 그룹 멤버십을 구성하는 데 사용. 화상회의, IPTV에서 활용. 그룹 가입, 멤버십 감시/응답/탈퇴
- 라우팅 프로토콜
- 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 : AS에서 사용하는 거리벡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개발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. 벨만-포드 알고리즘(메트릭Bestroute), 15홉(네트워크 수) 제한, UDP 520, 30초마다 브로드캐스팅
-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 : 자신의 기준을 링크상태 알고리즘 적용해 최단 경로 찾음. 다익스트라 알고리즘, 라우팅메트릭, AS분할, 홉카운트 무제한, 멀티캐스팅 지원
- BGP (Border Gateway Protocol) : AS 상호간에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라우팅 프로토콜
- IPv4(32비트) 전송방식 :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캐스트
- IPv6(128비트) 전송방식 :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애니캐스트
인증성/기밀성/무결성 지원 (=보안성 강화)
전송 계층 (4)
- TCP :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,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이고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.
- 신뢰성 보장, 연결 지향적 특징, 흐름 제어, 혼잡 제어 - UDP : 비연결성, 신뢰성 없음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 서비스 제공.
- 비신뢰성, 순서화되지 않은 데이터그램, 실시간 응용/멀티캐스팅 가능, 단순헤더
세션 계층 (5)
통신 중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유지시켜주는 역할 수행
응용 프로그램 간의 대화 유지 위한 구조 제공, 프로세스 들의 논리적인 연결을 담당하는 계층
- RPC (Remote Procedure Call) : 원격 프로시저 호출. 원격 제어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간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- NetBIOS (Network Basis Input/Output System) : 7응용계층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게 API를 제공해 상호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
응용 계층 (7)
-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: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,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
- FTP (File Transfer Protocol) : TCP/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
- SMTP (Simple Mail Tranfer Protocol) : TCP 포트 번호 25를 사용해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
- POP3 (Post Office Protocol Version3) : 응용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중 하나, 원격 서버로부터 TCP/IP연결로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
- IMAP (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) : TCP/IP연결로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
- Telnet :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에서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
- SSH (Secure Shell) : Telnet보다 강력한 보안의 원격접속 프로토콜. 인증, 암호화, 압축, 무결성 제공. 22번 포트 사용
- SNMP (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) : TCP/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, 라우터나 허브 등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/관리하고 관리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
'시험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필기 정리 - 3 (0) | 2022.07.09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 필기 정리 - 2 (0) | 2022.07.03 |
소프트웨어 개발 표준 (0) | 2022.06.29 |
암호 알고리즘 (0) | 2022.06.06 |
정보처리기사 필기 정리 - 1 (0) | 2022.06.04 |